서비스 기획 기초
이야기로 풀어내는 서비스 기획 (Basic)
서비스 기획 기초
이야기로 풀어내는 서비스 기획 (Basic)
연사
SKT 서비스 기획자 김광섭
일정
2020.11.24~ 2020.12.15 | 총 4회차. 매주 화요일 저녁 8-10시
장소
마포구 동교로 196 4층, 홍대 인사이터홈(IN HOME) 홀
정원
20~30명
모임등록비
250,000원


이야기로 풀어내는 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자는 사용자의 문제를 찾고 동료(개발/디자인)들과 그것을 해결하는 사람입니다.
이번 ‘서비스 기획’ 아목탕에서는 ‘과거의 정답’ 보다는
1.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
2. 생각을 전달하는 방식에 대한 강의를 듣고 학습합니다.
첫째,서비스 기획 A to Z 실무의 개괄을 파악합니다.
둘째,서비스 기획자가 사용자와 대화하는 방식을 배웁니다.
셋째,서비스 기획자가 동료들에게 생각을 전달하는 방식을 익힙니다.
그리고 배운 내용을 자신이 해결하려는 문제에 적용해 봅니다.
강사와 동료들에게 피드백을 받으며 학습한 내용을 소화합니다.
이런 분들에게 좋아요!
1. 주니어 서비스 기획자
회사 밖에서도 끊임없이 성장하고 싶은 주니어 기획자
2. 서비스 담당자
담당하고 있는 서비스를 좀 더 발전시키고 싶은 담당자
3. 서비스 기획에 관심이 있는 타직군 (개발/마케팅)
서비스 기획자들과 원활하게 소통하고 싶은 타직군
회차별 주제 및 연사구성
회차당 매번 2시간 동안, 참여하는 멤버분들이 지식, 네트워킹, 인터렉티브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됩니다.

서비스기획자 김광섭
현 SK텔레콤 모빌리티 사업단
* 마스터님이 써주신 글을 보시면 참조가 되실 거에요
따릉아 문제는 UI/UX야
좋은 UI설계서란 무엇일까
• 커리큘럼 내용 및 기대효과
‘채용 우대사항 : 서비스를 A부터 Z까지 기획/운영해 본 경험’
기획자의 경력직 채용 공고를 살펴보면 서비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다루어 본 경험자를 우대합니다. 프로젝트를 전체적인 시야에서 조망하고 일을 직접 만들어 나가는 역량을 확인하고 싶기 때문인데요. 강사가 리드했던 ‘레드커넥트’ 사례를 통해 서비스 기획의 A to Z Process를 파악해봅니다.
• 커리큘럼 목차
01 Problem 발견 및 정의 & 서비스기획자의 역할
02 UX Research & 서비스기획자의 역할
03 UX Design & 서비스기획자의 역할
04 Product Building & 서비스기획자의 역할
05 Branding & 서비스기획자의 역할
06 Launching & 서비스기획자의 역할
07 Operation & 서비스기획자의 역할
08 실무 팁 공유
• 토론 이슈
지자체의 공공 배달앱 도입은 성공할 수 있는가?
A. 지자체의 공공 배달앱 도입은 실패할 것이다
B. 지자체의 공공 배달앱 도입도 성공할 수 있다.
서비스 기획자의 관점에서 공공의 제품 개발 과정의 명과암을 토론해봅니다.
* 토론은 강의 중간 또는 강의 후에 진행됩니다.
• 사전 과제 (수업 2일전 자정까지 제출 필수)
1. 본인의 기획 경험/ 수업에서 바라는 점을 한장의 PPT에 담아오기
2. 사전 과제 Article 읽어오기 (레드커넥트, 공공 배달앱)
* 사전과제를 제출한 분들께는 마스터가 직접 피드백 드립니다.
* 읽을거리는 신청자에게 D-7에 공유 예정.
• 커리큘럼 내용 및 기대효과
문제의 현상과 원인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목소리를 들어야합니다. 하지만 온갖 잡무가 넘쳐나는 현장에서 사용자 조사를 꼼꼼히 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은데요. 간단하고 빠른 사용자 조사 방법과 사용자의 목소리를 서비스까지 전달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 커리큘럼 목차
01 인터뷰 작성 및 진행 방식
02 설문조사 작성 및 진행 방식
03 정량 조사 진행 방식 (데이터 분석)
04 조사 결과 공유 방식 (개발/디자인 공유)
05 실무 팁 공유
06 실습 과제 공유 (토론)
• 사전 과제 (수업 2일전 자정까지 제출 필수)
1. 유저리서치 해보기
- 평상시 관심이 있는 서비스를 고르고
- 불만족스러운 지점을 찾은 뒤 가설을 설정하고
- UX 리서치 계획을 세우고 수행한뒤
- 결과를 A4 2장 분량의 글로 써오기
(고를 서비스가 없다면, 배달의 민족, 네이버 웹툰 중 택1하세요!)
2. 사전 과제 Article 읽기
* 읽을거리는 신청자에게 D-7에 공유 예정.
- 사용자 인터뷰는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요?
- 필드에서 배운 성공적인 UX 리서치를 위한 TIP
- 쿠팡 UX리서처가 말하는 리서치
3. 본인의 채널만들기 (있으면 만들 필요 없습니다.) ex. 브런치, 블로그 등
• 커리큘럼 내용 및 기대효과
서비스 기획자는 정책문서와 Wireframe으로 대화합니다. 기획자가 문서를 만드는 방식과 도구, 그리고 다른 직군의 사람들과 원활하게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좋은 Wireframe의 조건에 대해서도 함께 고민해봅니다.
• 커리큘럼 목차
01 서비스 정책문서의 정의 & 작성법
02 Wireframe의 정의 & 작성법
03 Wireframe 작성 도구 & 실무 활용 (PPT/Sketch/XD/Figma)
04 좋은 Wireframe이란 무엇인가
05 실습 과제 공유 (토론)
• 사전 과제 (수업 2일전 자정까지 제출 필수)
1. 카카오 브런치(변경가능) 작가소개 화면의 Wireframe 작성하기
2. 사전 과제 Article 읽기 (좋은 UID란 무엇인가 / 마이너 케이스란)
* 읽을거리는 신청자에게 D-7에 공유 예정.
• 커리큘럼 내용 및 기대효과
‘사용자가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는 서비스 언어’, UX라이팅이 유행처럼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UX라이팅의 기초가 되는 콘텐츠 스타일 가이드와 그 작성법을 익힙니다. 그리고 실무에서 완벽한 UX라이팅을 적용하기 어려운 이유와 극복한 사례들을 살펴봅니다.
• 커리큘럼 목차
01 Microcopy 주요 내용 강독
02 우수 콘텐츠 스타일 가이드 구성 사례
03 실무 UX 라이팅 적용 사례
04 실습 과제 공유 (토론)
* 토론은 강의 중간 또는 강의 후에 진행됩니다.
• 사전 과제 (수업 2일전 자정까지 제출 필수)
1. 마이크로카피(킨너렛 이프라) 읽어오기 (2-3시간 소요)
2. 공공기관 앱/홈페이지 화면 2개를 뽑아 콘텐츠 스타일 개선하기
3. 사전 과제 Article 읽기 (지하철 고수, What is content style)
* 읽을거리는 신청자에게 D-7에 공유 예정.
커리큘럼 구성
회차당 매번 2시간 동안, 참여하는 멤버분들이 지식, 네트워킹, 인터렉티브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됩니다.


It’s your Eureka
아르키메데스의 목욕탕은 무엇이 다른가
Business Skill, Upgraded
나만의 차별화를 위해
Interactive Learning
더 많이 배우기 위해
#FUN #하브루타 #토론놀이
Networking
인사이터와의 인연을 통한 기회와 성장을 위해
기대효과
It’s your Eureka

01
첫째, 기획의 기초를 재미있게 배웁니다.
서비스 기획을 입문서와 고전으로만 배우는 것은 무척 지루한 과정입니다. 더군다나 교과서 속 사례는 현실과는 10년 정도 시간적인 거리를 두고 있는 경우가 많지요. 2020년 가을 현재, 우리가 실제 쓰고있는 서비스의 사례와 이슈를 통해 기획의 기초를 재미있게 배워봅니다.

02
둘째, 자신의 기획을 표현하는 법을 배웁니다.
기획자는 남을 설득하는 사람입니다. 내가 생각하는 문제, 원인, 그리고해결책을 내부의 동료는 물론 외부의 고객에게까지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자신의 생각을 글로 쓰고 함께 수업을 듣는 동료를 설득하는 훈련을 합니다.

03
이론과 실무의 간극과 이를 극복하는 법을 배웁니다.
이론으로 아무리 좋은 기획 방식을 배웠다고 하더라도, 실무에 적용할 때는 다양한 장애물이 발생합니다. 이론과 현실의 간극을 확인하고 지혜롭게 극복하는 방안을 고민합니다.
참여 대상자만을 위한 혜택